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webinos
- SAMD
- 음성인식
- CDSS
- 표준화
- COVID-19
- html5
- MWC 2013
- 의료인공지능
- smart city
- healthcare
- webOS
- Web OS
- Mozilla
- Game Theory
- CES
- MedicalAI
- Firefox OS
- Standardization
- 인공지능
- OCF
- DL
- Chrome OS
- CES2018
- DICOM
- 접촉자 추적
- Iot
- AI
- AR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26)
까칠한 모바일 2.0
CES 2018 마지막날 LVCC에서 자동차, 인공지능, 가전 기술과 제품들을 돌아보며 느낀점들을 모아 CES 2번째 정리로 남겨봅니다. 1. 보다 가까워진 AI와 AI 플랫폼 : 모든 기기와 결합되며 일상화되는 음성 인터페이스와 플랫폼, 사물인식과 상황인식을 위한 자율주행 기술, 노약자/어린이 뿐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곁으로 다가가는 컴패니언 로봇들, 제스처 인식과 얼굴인식이 기본되는 스마트홈 등등 기반 기술로 활용되는 AI 기술들이 보이더군요. 반면 AI seciton을 별도로 만들긴 했지만 바이두 이외에 몇 기업이 없었다는 점은 독자적인 상용화의 한계를 보여준 것도 같았습니다. 2. 삼성과 LG의 질주, 추격해오는 중국 기업들 : 삼성은 OCF 표준과 smart thing을 기반으로 한 모든 가전의..
CES 이야기를 하나 정리해 적어봅니다. 전시자로 와있기에 여기저기 돌아볼 시간은 없어, 점심 시간과 휴식시간에 짬내서 전시를 하고 있는 Sands 관만 주마간산격으로 살펴본 내용을 정리해봤습니다. (나중에 시간이 되면 주목할만한 insight들로 몇개만 다시 정리해보겠습니다) 1) 스포츠 웨어러블의 쇠퇴 작년까지 큰 부스를 차지했던 Nike, Adidas, Polar, UnderAmor 등이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 변화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심지어 Fitbit 도 private room만 운영한다는 점은 충격인 듯 싶네요. 2) Home Security Camera 제품의 급성장 아마 샌즈관의 절반은 스마트홈 CCTV와 보안 관련 이슈들이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고, 여기에 절반 정도도 ..
All About the GANsLatest version : https://github.com/hollobit/All-About-the-GAN GAN(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are the models that used in unsupervised machine learning, implemented by a system of two neural networks competing against each other in a zero-sum game framework. It was introduced by Ian Goodfellow et al. in 2014.The purpose of this repository is providing the summarized list ..
지난 7월18일에 개최 하였던 "헬스케어 사물인터넷"에 대한 제2차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세미나 행사의 발표자료를 공개합니다. 각 발표자료에 대한 저작권은 해당 연사에게 있으며 문의사항은 해당 발표자에게 직접 해주시기 바랍니다. 식약처의 스마트 헬스케어 자문위원회 관련 이슈 또는 헬스케어 사물인터넷에 대한 문의는 댓글로 남겨주시기 바랍니다. 제2차 스마트 헬스케어 기술 세미나 발표자료 주제, 일시 및 장소(Details)주제 :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헬스케어 사물인터넷(IoT:Internet of Things) 기술등록페이지 : https://onoffmix.com/event/105739 일시: 2017년 7월 18일(화) 오후1시30분 ~ 오후6시 장소: 과학기술회관 중회의실 주최: 식품의약품안전처주관..
최근 유럽연합에서 결의한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법적 지위 부여에 대한 건을 비롯하여, 일본에서의 인공지능 공인인증 체계 마련에 대한 이야기까지 많은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신경회로망으로 학위를 마치고나서 인공지능에 대한 주제로 글을 써보는 것은 20년만이네요. 세상이 이렇게 바뀌게 되리라고는 상상도 못했는데 말이죠. 지난해 TTA 표준전략로드맵의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개방적/인간친화적 인공지능 체계"에 항목을 도출했었고 이런 부분에 대한 관심과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었는데, 우연하게도 이런 시기에 TTA 저널에서 해당 내용에 대한 원고를 작성해달라해서 좀더 내용을 보충해서 작성해볼 수 있게 되었네요. 처음 뼈대를 잡아나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하고 있어 논쟁과 이슈가 많을 수 있다고 생각하..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와 응용들에 대한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해 필요한 표준화 이슈들을 좀더 체계적으로 발굴하기 위해 2015년에 5계층으로 구성되는 "스마트 웨어러블 상운용성 참조 모델"이라는 표준을 개발하여 정보통신 단체 표준으로 제정한바 있습니다. 올해는 이 기본 참조 모델의 5단계 계층 구조 각각에 대해 보다 세분화된 요구사항들을 정리하는 작업들을 TTA PG910 프로젝트 그룹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중 가장 먼저 하드웨어 상호운용성 부분에 대한 유즈케이스들과 요구사항들을 정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고, 우선 3가지의 유즈케이스와 6가지(인체안전성, 충전 및 전원 호환성, 외장 호환성, 신뢰성, 환경적합성) 요구사항 분류를 기초로 총 32가지 정도의 요구사항들을 도출해보았습니다. 아마도 웨어러블..
CES 2016에서 보고 느낀 것들을 정리한 출장 보고회 자료입니다. 전체 주제들을 A-Z까지의 26가지 키워드로 정리를 하였고, 이를 다시 대분류 기술동향인 Car, Fitness/Healthcare/Wearabel, Home/IoT, Startup과 중국, 그리고 기타 그룹으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시길 바래봅니다. New ICT Trends in CES 2016 from Jonathan Jeon
제가 뽑아본 CES 2016의 A부터 Z까지의 동향 키워드입니다. 왜 이런 내용들은 A-Z까지로 뽑았는지에 대해서는 금주 중으로 별도 발표 자료로 정리하여 공유해보도록 하겠습니다. (A)ccessories 차량용, 스마트 기기용, 드론용 등 다양한 액세서리들이 등장(B)attery 전자기기들의 최대 이슈는 배터리죠. 스마트 기기를 위한 다양한 배터리들과 배터리가 결합된 스피커 등도 여러 제품들이 등장 (C)ar - Electronic & Autonomous 자동차는 이번 전시에서 가장 중요한 미래 모습을 보여주는 전시 중 하나였고, 많은 자동차 관련 부품 및 완성차 업체들이 나왔었습니다 (D)isplay 두루마리형 디스플레이, 양면 디스플레이, 미러형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들이 전시되었었고, 디..
HyWAI is an HTML5 based Hybrid Web Application platform that allows you to author native applications with web technologies and get access to APIs and app stores. HyWAI leverages web technologies developers already know best... HTML and JavaScript. Latest version of HyWAI 3.5 can support Bluetooth API for Hybrid Application. This Bluetooth APIs is very similar with W3C's Web Bluetooth API. You c..
정보처리학회 학회지 LBS 특집호에 실리게 된 원고입니다. 간단하게 최근 주목 받고 있는 모바일 환경에서의 위치정보 기반 응용 서비스들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모바일 위치정보 응용 기술 표준화 동향" 이동통신 기술과 스마트 기기, 그리고 인터넷 기술의 진화 발전에 따라 이동 환경에서의 정보서비스는 빠른 발전을 이루고 있다. 스마트 기기는 GPS를 비롯한 다양한 센서들을 내장하면서 좀 더 빠르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기술과 인터넷 기술은 사용자의 상황 정보(context information)를 분석하고 인식하여 빠르게 대응되는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진화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처럼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모바 일 응용을 위한 위치 기반 서비스(L..